간은 인체가 지닌 장기 중 가장 큰 장기로써 생명 유지에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합니다. 또한 손상을 입어도 스스로 고쳐가는 재생능력이 뛰어나 기능이 악화되어도 증상을 느끼지 못해 침묵의 장기라고도 합니다.
간에 발생하는 악성종양은 간세포암과 담관세포암이 95%를 차지하고 일반적으로 간암이라고 하면 간세포암을 말합니다. 우리나라의 간암 발생률은 위암, 폐암에 이어 OECD국가들 중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입니다. 우리나라 암에 의해 사망자수로는 간암이 제1위로 국가적 관리를 필요로 합니다.
바이러스성 간염(B형, C형), 간경변증, 알코올성 및 기타 만성 간질환과 관련이 있습니다.
무증상이 대부분이어서 증세가 나타나기 전에 조기진단이 필요합니다.
증상으로는 오른쪽 윗배 통증, 덩어리 만져짐, 팽만감, 체중감소, 심한 피로감, 그리고 만성 간질환과 동반된 황달, 복수, 위장관 출혈 등이 있습니다. 간경변을 동반한 경우는 손바닥 홍반, 거미상혈관종, 여성화 유방, 출혈이 자주 일어남, 복수, 간성 뇌증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수술
수술적 치료의 역할
간세포암의 수술적 치료는 고분화 세포암, 소간세포암에서부터 진행성 간암에 이르기까지 중심적역할을 차지합니다.
수술적 치료의 효과는 간세포암의 진행 정도에 따른 차이는 있으나 다른 치료법과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좋은 결과를 보여줍니다.
간세포암은 치료 후 간내 재발이 빈번한데 이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의 간세포암은 B형 간염이나 간경변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은데 수술적 치료법의 한 종류인 간이식을 통해서 두 가지 질환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습니다.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간암 수술을 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은 간암의 진행 정도와 환자의 남아 있는 간 기능에 좌우됩니다. 간암이 진행하여 너무 크거나 종양이 여러 개인 경우, 간 밖의 장기로 이미 퍼진 경우에는 수술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간암이 비교적 초기 단계라 하더라도 환자의 간기능이 너무 나쁘면 수술이 불가능합니다. 정상 간은 70~80% 까지 잘라내어도 남아 있는 간기능만으로도 문제가 없으며 점차 다시 자라나서 12개월 이내에 크기가 원래 간 크기로 회복됩니다. 하지만 만성 간염이나 간경변이 있는 병든 간은 간 기능이 부족하여 간을 잘라낼 수 있는 절제 범위에 제한이 있고 재생 또한 지연되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수술 후 간 기능이 영영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간암환자 중 실제로 수술이 가능한 경우
우리나라의 경우 이미 상당히 진행된 상태로 간암이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간경변으로 간기능이 저하된 환자가 많기 때문에 수술은 제한된 경우에만 시행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국내 보고를 보면 간암 환자 중 수술이 가능했던 경우는 10~20%정도로 이는 일본의 수술 시행률 35%에 많이 못 미치는 숫자입니다.
간이식
간이식이란
간이식이란 환자의 간을 완전히 제거한 후 기증된 새로운 간을 이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간이식의 방법으로는 기증되는 간의 종류에 따라 뇌사자 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뇌사자 간이식은 뇌사상태에 빠진 공여자에게서 장기를 기증받아 수혜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기증되는 간의 전체를 이식하는 방법이고, 생체 간이식은 건강한 사람의 간의 일부를 절제하여 수혜자에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간세포암에 대한 간이식 적응증
간세포 암에 대한 간이식 실적 및 성공률
간동맥 화학색전술
간암이 여러 개가 있어 간절제, 고주파열치료, 간이식을 하기 곤란한 경우에 시행합니다. 여러 개의 간암을 가진 상태에서 간동맥화학색전술을 하는 경우에도 많은 경우 간암의 성장을 억제하고 생존 기간을 연장시킵니다. 일부 환자에서는 간동맥화학색전술로 완치될수도 있습니다.
시술방법은 사타구니 동맥을 통해 매우 가늘고 긴 관을 삽입한 후 이를 간동맥까지 올려 보내 이 관속으로 항암제와 색전물질(혈관을 막아 종양으로 가는 혈류를 차단시키는 물질)을 간암 바로 앞까지 뿌려줍니다. 보통 혈관 치료 1개월 후 CT로 치료 효과를 판정하며 약 1~3개월 간격으로 치료를 반복합니다. 수술이나 국소 치료가 어려운 환자에 널리 쓰이고 있으며 종양의 감소와 생존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에탄올 주입술
암조직에 직접 100% 무수 알코올을 주입하여 에탄올의 화학작용에 의해 암조직을 파괴하는 치료법입니다.
특히 CT 유도하 에탄올 주입술은 본원 영상의학과 팀에서 개발한 치료법으로 국내에서 처음 시도한 치료법으로 초음파 유도하 에탄올 주입술보다 병변의 크기가 큰 경우와 위치 등으로 기존 치료가 어려운 경우에 탁월한 성적을 보이는데 각종 국제 학회와 국내 학회에서 치료의 탁월성과 효과가 입증되어 국내 유수 병원에서도 치료법을 도입 시행하고 있습니다.
고주파 열치료
간암 국소 치료법 중 한가지로, 초음파나 컴퓨터 단층촬영 유도 하에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전기침을 종양에 삽입한 후 고부하의 전류를 발생시키면 전기침 주변에 열이 발생되어 종양조직을 태움으로써 치료하게 되는 것입니다. 고주파 열치료는 종양을 효과적으로 괴사시키며, 시술 후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항암요법
국소 간동맥 항암화학요법
간세포암에서 국소간동맥 항암화학요법은 진행성 간암의 경우 또는 다른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 고려하게 되며, 종양에 영양을 공급하는 간동맥 내로 항암제를 주입하여 직접적인 항암효과를 보는 치료방법입니다.방사선 치료
고에너지의 방사선으로 암세포를 파괴하고 증식을 억제하는 치료방법입니다. 최근 방사선 치료기기의 발달 및 새로운 방사선 치료기법의 개발을 통하여 방사선을 안전하게 간에 조사하는 것이 가능해지면서 최근 간암치료에 보완적 요법으로 이용되며, 주로 간동맥 화학색전술이나 국소 간동맥 항암요법과 병행해서 시행합니다.
방사선 치료의 적응증으로는 첫째 수술적 절제가 불가능하거나 국소치료법, 간동맥 화학색전술 등으로 완전한 치료가 되지 않는 환자의 보조요법으로 시행하게되며, 둘째 암으로 인한 증상(골전이로 인한 통증, 신경압박으로 인한 마비현상, 암으로 인한 출혈, 종양의 담도폐색으로 인한 황달 등)을 완화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암치유센터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Fax. 053-258-6376
COPYRIGHT(C) CANCER CENTER OF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