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은 ‘이자’라고도 하며, 약 15cm의 가늘고 긴 모양으로 위의 뒤쪽에 위치하며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췌장은 소화를 돕는 췌장액을 만들고, 인슐린과 글루카곤을 분비하여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췌장암은 췌장에 생긴 암세포로 이루어진 종괴를 말합니다. 췌장암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는데 췌관 선암이 90% 이상이고 그 외 낭종선암(낭선암), 내분비종양 등이 일부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췌장암은 질병의 최기에는 거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을 때는 암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습니다.
대부분에서 복통과 체중 감소가 나타나며, 췌장 두부에 종양이 있는 경우 담즙의 흐름을 막아서 황달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내시경적 역행성담췌관조영술(ERCP), 내시경적 초음파 검사(EUS), 양성자방출단층촬영(PET), 혈청 종양 표지자 그리고 복강경 검사, 조직검사 등이 있습니다.
치료방법은 암의 크기, 위치, 병기, 환자의 나이와 건강상태 등을 고려해 결정됩니다. 한 가지 방법으로 치료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여러 방법을 병합하여 치료하기도 합니다.
수술
수술은 완치를 생각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으로 실제 췌장암 환자의 20% 정도에서 수술이 가능합니다. 수술 방법은 췌장 내 암의 위치에 따라 다르며, 암이 췌장의 머리 부분에 생긴 경우 휘플씨(Whipple's) 수술 또는 유문보존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주로 시행하고, 췌장의 꼬리 부분에 생긴 암의 경우 원위부 췌장절제술을 주로 시행하게 됩니다.
항암화학요법
항암화학요법은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경구나 혈관에 항암제를 투여하는 방법입니다.
증상 치료
경피경간 담즙배액술 또는 내시경을 이용한 스텐트 삽관술은 종양으로 인한 담관 폐쇄로 인한 황달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시행합니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암치유센터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Fax. 053-258-6376
COPYRIGHT(C) CANCER CENTER OF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