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경부 악성종양(암) 이란 구강, 인두, 후두, 기관 및 식도, 부비동, 침샘, 안면골과 연부 조직 및 갑상선에 생긴 암을 말합니다. 전체 암 중 여섯 번째로 많은 두경부암은 발견이 늦고 수술이나 방사선 치료 후 많은 기능장애를 유발하므로 예후가 안 좋은 질환 중 하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진단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새로운 치료 술식의 개발로 조기진단 및 완치가 가능해졌습니다.
알려진 유발인자로는 담배가 가장 중요하며 이는 두경부위가 호흡기의 입구에 해당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유전적 소인과 음주나 바이러스 및 공해 등 자극물질이 유발인자가 될 수 있습니다.
초기 두경부암의 증세는 종종 뚜렷하지 않으므로 세심한 주의를 요합니다.
종양이 생기는 부위별로 예를 들면, 코 뒤쪽 인두부인 비인강암의 경우는 코막힘과 코피 또는 고막에 물이 차서 귀가 멍멍하고 안 들리는 삼출성 중이의 잘 낫지 않는 궤양 및 통증이 초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목젖 뒤쪽의 구인두암의 경우 편측성으로 지속되는 목안의 통증 및 이와 동반된 이통이 초기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후두암 중 성대에 생기는 성문암은 음성의 변화라는 초기증상을 가져오므로 다른 부위의 암에 비하여 질병초기에 발견이 용이합니다. 이를 간과하고 방치하는 경우에는 종양이 증식되어 음성은 더 나빠지게 되며 급기야는 거의 소리가 나지 않게 됩니다. 이와 아울러 증식된 종양덩어리가 성문을 폐쇄시키게 되므로 호흡곤란이 야기될 수 있습니다. 성대 윗 부분에서 발생한 암인 성문상부암에서는 음성의 변화보다는 침이나 음식물을 삼킬 때의 통증이 첫 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아주 초기인 경우에는 아래 쪽으로 진행되어 성대가 침범 되면 성문암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성의 변화가 동반되게 됩니다.
위의 열거한 증상들과 더불어 나타날 수 있는 증상 중 특기할 만한 것은 목부위(경부)의 임파선 비대입니다. 두경부암은 임파선을 따라 임파절로 전이를 잘하므로 뚜렷한 증세없이 경부의 임파선 비대로 인해 발견될 수도 있습니다. 비교적 통증이 적으며, 크기가 점차 커지고, 일반적 치료에 반응을 안하는 경부의 임파선 비대가 있을 때는 반드시 두경부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암의 치료방법에는 크게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그리고 수술적 방법이 있습니다. 임파종을 제외한 두경부암의 대부분에서 항암약물요법은 기본적인 치료방법으로 선택되지 않으며 보조적인 수단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조기 질환에서는 방사선 치료 요법이 추천되고 있지만 진행된 경우에는 수술적인 방법이나 수술 후 방사선 치료 요법을 병행하는 방법이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질병의 병기에 적합한 치료를 의사의 조언에 따라 결정하게 됩니다.
후두암의 경우 조기 발견이 가능하므로 예후가 양호한 편이나 다른암의 경우는 진행된 상태가 많으므로 예후가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조기에 발견하는 경우에는 예후가 양호하므로 두경부암은 예방과 조기발견이 중요합니다.
두경부암의 대부분은 흡연이 가장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하며 구강의 불량한 위생상태도 구강암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연은 필수적입니다.
입속에 상처가 쉽게 낫지 않거나 약을 먹어도 가라앉지 않고 진행하는 종기, 그리고 입 속이나 목에 덩어리가 보이거나 만져지면 이비인후과나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음식을 삼키기 힘들거나 점점 심해지는 애성(쉰 목소리), 그리고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을 때도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흡연과 음주를 많이 하거나 공해에 노출이 잦은 분들은 적어도 1년에 한 번은 정기적인 이비인후과 검진이 필요합니다.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암치유센터
42601 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35Fax. 053-258-6376
COPYRIGHT(C) CANCER CENTER OF KEIMYUNG UNIVERSITY DONGSAN MEDICAL CENTER